본문 바로가기

성경 속 이야기

실재(實在)와 비재(非在)

물론, ‘실재비재’, , 이 세상에 무엇이 있고 없는지 사유한다고 해서 누구나 반드시 예수님을 만나게 되는 것은 결코 아닙니다.

 

흑암의 끝에 있는 빛만 아주 살짝 볼 수도 있고, 소크라테스처럼 흑암에 이르지도 못한 채 이런저런 이유로 죽을 수도 있는데요, 그렇다고 해도, 집중해서 실재비재를 계속해서 사유하면 사람과 하나님 사이에 있는 예수님을 만날 수 있죠.

 

예수시다!’

 

처음 보면서도 도저히 부정할 수 없을 만큼 아주 명확하게.

 

, 노자처럼 성경을 전혀 몰라도 아무런 상관없이.

 

그러면서 자신과 하나님은 어떤 관계인지도 분명하게 알 수 있고요.

 

그런데 사실, ‘실재비재를 사유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엄청나게 어렵습니다.

 

왜냐하면, 실제로 이에 대하여 사유하려면 칸트처럼 자신에게서 자꾸만 발견되는 모순, , 자기모순을 계속해서 해결해야 하지만, 막상 이렇게 하는 것이 괴로울 만큼 매우 힘들기 때문인데요, 그에 앞서, 예수님의 말씀처럼 남의 모순과는 달리, 자기모순은 발견해도 인정하기조차 매우 어렵죠.

 

어찌하여 형제의 눈 속에 있는 티는 보고 네 눈 속에 있는 들보는 깨닫지 못하느냐”(7:3, 6:41)

 

그렇다 보니 실재비재를 사유하다가 금방 포기할 수도 있고요.

 

이뿐 아니라, 이 세상에는 실재비재보다 쉽게 집중할 수 있는 것이 엄청나게 많이 있습니다.

 

TV, 컴퓨터, 게임, 스마트폰, 주식을 비롯한 이런저런 돈벌이 등등.

 

그리고 이 세상을 살다 보면 먹고살기 위해서라도 때로는 반드시 누구에게인가 집중하거나 무엇인가에 집중해야 하는데요, 현실이 이렇다 보니 실재비재를 사유하고 싶다는 생각은 도저히 못 할 수도 있죠.

 

심지어 실재비재에는 호기심조차 못 가질 수도 있고요.

 

더구나 실재비재를 사유한다고 돈을 벌 수 있는 것도 아니다 보니.

 

하지만 이유가 무엇이거나 상관없이, ‘실재비재를 사유하지 않는다면 사람은 진화론자 등 유물론자들처럼 남의 모순만 지적하면서 모순된 말과 행동만 계속할 수밖에 없습니다.

 

그러다가 괴테의 소설 파우스트의 주인공처럼 자신의 삶을 후회할 수밖에 없죠.

'성경 속 이야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세상의 시작  (1) 2024.07.26
모순덩어리  (1) 2024.07.24
예수와의 만남  (0) 2024.07.19
이외수와 도표  (0) 2024.07.16
죽음의 구렁텅이  (0) 2024.07.11